404 Object Not Found_Seoul

‘404 Object Not Found_Seoul2006’(이하 404 프로젝트_서울2006)은 404 Object Not Found(이하 ‘404 프로젝트’)의 디렉터인 한스 D. 크리스트와 이리스 드레슬러의 동의 하에, 토탈미술관이 주관하고, 문형민, 양아치, 신보슬이 한국측 공동 디렉터로 참여했습니다. ‘404 프로젝트_서울2006’은 ‘404 프로젝트’ 주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2003년 독일에서의 ‘404 프로젝트’의 성과들을 바탕으로 한국의 미디어아트 상황에 대한 본격적으로 진단해 나가고자 기획되었습니다. 토탈미술관, 아트센터 나비, 루프 이렇게 3개의 기관들이 참여했던 ‘404 프로젝트_서울2006’은 크게 리서치 프로젝트, 전시, 심포지엄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특히 일년 가까지 진행해온 리서치 프로젝트는 국내 미디어아트 전문가들을 직접 방문하여 우리나라 미디어아트의 현황 및 과제 등에 대해서 직접 인터뷰하였으며, 2003년 독일에서 이루어졌던 ‘404 프로젝트’를 번역하는 성과를 올리기도 하였습니다. 전시 및 심포지엄을 위해 404 프로젝트를 만든 한스 D. 크리스트, 세계적인 미디어아트 큐레이터 마크 트라이브(Mark Tribe), 스페인의 미디어아티스트인 다니엘 가르시아 안두하르(Daniel Garcia Andujar), 스위스 미디어아티스트 마크 리(Marc Lee) 가 참가하여, 논의의 깊이를 더해주었습니다. 특히 기존의 워크숍과 리서치 성과물을 전시를 통해 보여줌으로써, 워크숍과 심포지엄, 리서치 프로젝트 그리고 전시를 유기적으로 연동시키는 새로운 방식을 시도하여 좋은 반응을 얻었습니다. 이상의 모든 담론과 성과물들이 탁상공론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향후 현실적인 발전의 토대로 삼아 실행 단계에 까지 이어져야 한다는 의미에서, 스페인의 대표적인 아티스트인 문타다스(Muntadas)의 “Warning: Perception requires Involvement”를 한글로 번역한 텍스트로 전시를 시작함으로써, 404 프로젝트가 일회적인 행사로 논의의 수준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실천/행동의 단계에 까지 나아가야 함을 시사하여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는 평을 받기도 하였습니다.

International Symposium and Workshop

regarding data/media art preservation, presentation and archiving “404 Object Not Found_ Seoul2007” October 22 - 26 2007 @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 memory of the heroic boys and girls that worked deep into the night for all those months, in those small and hot offices at CERN, Rom 404 is preserved as a ‘place on the web.’ None of the other rooms are still used for the Web. Room 404 is the only and true monument to the beginning of the Web, a tribute to a place in the past, where the future was shaped.” Copyright © 1997-2003 Room 404. All rights reserved. When internet is introduced to daily life, people excited about this totally different world form our physical space. It makes blur the geographical distance and time zone. When people access to the internet, they will see limitless-like space. Just like this, web is considered as the space which is very of the secured, the safe and most of all, the free. Even it seems to be very much equal space for everybody. However, unlikely our expectation, Web is the still very fragile and tentative space. Unfortunately people do not take this as the serious issue.

about Daniel Garcia Andujar - Gordon Dalton 다니엘 가르시아 안두하르의 작업은 <인간을 위한 기술>(Technologies To The People, 이하 TTTP)로 유명하다. 가상성, 독자성, 저작권, 후원, 새로운 기술로써의 매체와 권력, 그리고 세상을 향하는 접근성 등에 대해서 탐구한다. 또한 누가 기술을 향해 진짜로 접근하는가와 ‘정보가 풍부한 사람’과 ‘정보가 결핍된 사람’은 어떻게 구분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한다. 이러한 구분을 어떻게 막을 수 있으며, 향후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또한 새로운 정보 인프라에 "다양한 계층"을 포함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공개 소프트웨어(Free Software) 제품의 경우에서처럼, 자원(resource)을 촉진, 이용, 발전시키는 것은 소위 그들이 말하는 부패한 사업체나 정부가 통제한 모델을 통한 경우보다 훨씬 더 많은 독립성과 자기 통제능력을 광범위한 커뮤니티에 부여할 것이다. 인터넷은 지식과 정보의 집약을 해체시킴으로써 세계화와 실제화라는 새로운 영역에 공헌한다. 이것은, 비록 잠재적인 것이라 할지라도, 비교적 낮은 비용의 동시적 수단이기 때문에, 지지자들은 인터넷을 통한 문화의 민주화를 희망하고 있다. TTTP에서의 갈등은 인터넷이 보장하는 자유와 인터넷에 존재하는 지식들, 그리고 권력을 발전시키는 수단으로써 그 지식을 실제로 소유하고 퍼트리는 사람에 기인한다. 이 문제가 어떻게 극복되는가 하는 점은 디지털과 기술 문맹인 하위 계층의 문제가 커져가는 것을 고려할 때 중요한 영향력을 가진다.

a

Tue ‒ Thu: 09am ‒ 07pm
Fri ‒ Mon: 09am ‒ 05pm

Adults: $25
Children & Students free

673 12 Constitution Lane Massillon
781-562-9355, 781-727-6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