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umentación e-ciudades ¿A dónde vas, Madrid?
Vídeos de las distintas charlas y presentaciones de las Jornadas e-ciudades, enfocadas a la política cultural madrileña y organizadas por la plataforma e-madrid. Medialab-Prado Madrid
· e-ciudades: presentación y debate [+info]
Jornadas ¿A dónde vas Madrid? e-ciudades y política cultural en Madrid
- Inmaculada Salinas, de e-sevilla.org
- Daniel García Andújar, de e-barcelona.org
- Domingo Mestre, de e-valencia.org
- Alfonso Sánchez Uzábal, de e-madrid.org
- Carlos Otto, de e-ciudadreal.org
E-Project Technology to the People_Daniel Garcia Andujar
about Daniel Garcia Andujar
- Gordon Dalton
다니엘 가르시아 안두하르의 작업은 <인간을 위한 기술>(Technologies To The People, 이하 TTTP)로 유명하다. 가상성, 독자성, 저작권, 후원, 새로운 기술로써의 매체와 권력, 그리고 세상을 향하는 접근성 등에 대해서 탐구한다. 또한 누가 기술을 향해 진짜로 접근하는가와 ‘정보가 풍부한 사람’과 ‘정보가 결핍된 사람’은 어떻게 구분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한다. 이러한 구분을 어떻게 막을 수 있으며, 향후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또한 새로운 정보 인프라에 "다양한 계층"을 포함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공개 소프트웨어(Free Software) 제품의 경우에서처럼, 자원(resource)을 촉진, 이용, 발전시키는 것은 소위 그들이 말하는 부패한 사업체나 정부가 통제한 모델을 통한 경우보다 훨씬 더 많은 독립성과 자기 통제능력을 광범위한 커뮤니티에 부여할 것이다.
인터넷은 지식과 정보의 집약을 해체시킴으로써 세계화와 실제화라는 새로운 영역에 공헌한다. 이것은, 비록 잠재적인 것이라 할지라도, 비교적 낮은 비용의 동시적 수단이기 때문에, 지지자들은 인터넷을 통한 문화의 민주화를 희망하고 있다.
TTTP에서의 갈등은 인터넷이 보장하는 자유와 인터넷에 존재하는 지식들, 그리고 권력을 발전시키는 수단으로써 그 지식을 실제로 소유하고 퍼트리는 사람에 기인한다. 이 문제가 어떻게 극복되는가 하는 점은 디지털과 기술 문맹인 하위 계층의 문제가 커져가는 것을 고려할 때 중요한 영향력을 가진다.
La creación digital española desembarca con fuerza en la prestigiosa bienal de Corea del Sur
Además de la nutrida participación en la Media City Seoul, el Nabi Art Center expone a artistas hispanos R. BOSCO / S. CALDANA 23/12/2004 El País El dinamismo del arte digital hispano ha conquistado Corea del Sur. Son cuatro las obras de artistas españoles que participan en Homo Ludens, la exposición principal de la tercera edición de la prestigiosa bienal Media City Seoul, y su elección resume las diferentes líneas de investigación que conforman la escena digital española. El dinamismo del arte digital hispano ha conquistado Corea del Sur. Son cuatro las obras de artistas españoles que participan en Homo Ludens, la exposición principal de la tercera edición de la prestigiosa bienal Media City Seoul, y su elección resume las diferentes líneas de investigación que conforman la escena digital española. Por un lado, está la aproximación colaborativa de Daniel García Andújar con una nueva versión de su instalación-taller sobre tecnologías open source, y por otro, la búsqueda formal de José Carlos Casado con New body, una videoinstalación de cuerpos convertidos en objetos sexuales, androides hiperconectados que invitan a la reflexión sobre los usos y abusos de la ingeniería genética.
mediacity seoul 2004
> 디지털 시대, 놀이하는 인간 Theme_게임/놀이 ● 컴퓨터 게임으로 대변되는 ‘게임’이라는 삶의 방식이 자연스럽게 스며있는 개개인의 일상과, 게임 산업이 가지고 있는 경제적 파급력, 각각의 게임과 여러 가지 놀이가 내포하고 있는 사회 문화적 메시지들을 미디어아트를 통해 총체적으로 살펴보고, 이러한 문화현상에 대한 미래적 가치를 찾아봅니다. Title_디지털 호모 루덴스 ● 네덜란드 문화학자인 호이징가는 이성과 사유가 아닌, 놀이/유희가 인간의 문화를 형성해 왔으며, 놀이/유희로 인해 인간이 오늘에까지 이르게 되었다고 말하면서, 이러한 인간을 호모 루덴스, 즉 유희의 인간이라 불렀습니다. 오늘날의 놀이와 게임은 디지털 문화와 접점을 이루면서 삶을 이루는 하나의 방식이 되었고, 이러한 문화에 몸담은 새로운 인간을, 우리는 호이징가의 견해를 따라, 이제 디지털 호모 루덴스라 부릅니다.